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정보

EPB전자파킹브레이크

by 부파만 2018. 1. 22.
반응형

요즘 많이 사용하는  EPB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렇게 생겼습니다  ☞((P))☜ 버튼

기존에는 핸드브레이크 방식이나 풋브레이크 방식을 많이 사용했었는데 점점 전자파킹브레이크로 바뀌어가는 추세입니다.

EPB사용시 장점은 사이드브레이크가 체결 되어있을 경우 변속기를
드라이브 모드로 변경하여 주행시 사이드브레이크가 자동으로
해제가 됩니다.

간혹,사이드브레이크가 체결된체로 주행한적 있으실겁니다.
EPB가 있으면 앞으론 그런 실수
절대 없을겁니다.
알아서 해제가 되니깐요~

그리고 EPB가 장착된 차량엔
"auto hold"가 같이 장착 되어있는데 이놈도 아주 유용합니다.

☞AUTO HOLD☜버튼

오토홀드 사용법은 시동켠 상태에서 오토홀드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계기반에 이렇게 뜹니다.

반응형

AUTO HOLD 하얀색으로 뜹니다.
작동 대기 상태입니다.
그리고 주행을 합니다.
주행중 신호대기 상태가 되었을때
브레이크를 2초정도 밟으면
계기반에 AUTO HOLD가
초록색으로 바뀝니다.

이렇게요ㅎㅎ
그럼 이제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셔도 됩니다.
브레이크가 체결되 신호대기때 브레이크에 발을 밟고 있거나,
변속기를 중립으로 변경하거나,
사이드 브레이크를 체결 안하셔도 됩니다^^

AUTO HOLD 기능 한번 사용해보면 헤어나오지 못할겁니다.ㅎㅎ

그리고 AUTO HOLD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을때 주차를 하고 시동을 끄면 자동으로 EPB가 체결 됩니다.

EPB가 있는 차들을 보면 시동을 끌때 어떨땐 자동으로 EPB가 체결되고 어떨때는 안되는데 그이유가 AUTO HOLD 작동 유무에 달려 있었습니다.

AUTO HOLD가 작동중이면 시동껏을때 자동으로 EPB가 체결되고
AUTO HOLD가 비작동중이면 시동껏을때 EPB가 체결되지 않습니다.

EPB알아서 브레이크가 체결되고 해제되고 정말 유용한 시스템 입니다^^

간혹,계기반에 EPB라고 빨강색으로 경고등이 뜨는데 그거는 EPB에 지금 문제가 발생했다는 신호니 가까운 기아오토큐에 방문하셔서 점검 받으세요~/




반응형